반응형
개인노트임
MOTL 같은 경우 ref. 가 기존 IEEE와 다르다 상당한 번거로움을 가져다 주는데 일단 적어보자
저자 (Author)
IEEE 양식과 반대이다. 성을 그대로 쓰고 이름을 약자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Lee GS 이런 느낌?? 그리고
Kim S, Jung MS. (논문 이름)
위와 같은 형식으로 적는 듯하다 마지막엔 점(.)으로 끝을 선언하는 느낌이다.
Title
적는건 그대로 적고 제목이 끝이나면 뒤에 점(.)을 반드시 찍는다.
출처
1. 저널 또는 Letter인 경우
pages 는 범위이다 예를 들어 584-588 이렇게
저널 | MOTL 방식의 표기 |
JSSC | IEEE J Solid-State Circuits. Year;Volume(Issue):pages. |
MWCL | IEEE Microw Wireless Compon Lett. Year;Volume(Issue):pages. |
TCAS-1 |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ular Papers. Volume(Issue):pages. |
2. Conference paper 인 경우
(저자와 논문 제목은 동일). In: Year (출처). 기간
인듯 한데 일단 대표적인 컨퍼런스들을 보도록 하자
컨퍼런스 | MOTL 방식 |
IEEE MTT‐S International Wireless Symposium | In:(Year)IEEE MTT‐S International Wireless Symposium (IWS). IEEE;Year:Pages. |
반응형
'슬기롭지 못한 대학원 생활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작성법연구 - 1주차 정리 (0) | 2022.03.10 |
---|---|
논문 서론(Introduction)을 작성하면서 느낀점 (0) | 2022.02.15 |
논문의 결론(Conclusion) 작성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