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비1 14주차 정리 - 대비, 요인 배치법 대비(Contrast) 4개의 수준이 있을 때 네번 째 수준의 평균과 123 수준의 평균의 평균과 같은지 비교해보고자 할 때 아래와 같이 가설을 세울 수 있다. L은 각각의 곱과 각 모평균을 더할때 앞에 있는 계수들의 합이 0이면 이러한 모평균들의 수준 평균들의 선형함수를 대비라고 한다. 이를 풀어 보면 대비 L의 변동 µ_i 대신에 그것의 추정량인 x_i^(bar)를 대입하고 그 다음에 세타는 Sum of Ci^2 하면 각 대비의 변동은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귀무가설을 L이 이냐 H0:L=0 이냐 H1:L은 0이 아니냐고 할 때 검정 통계량 F0는 SL/MSE 이는 자유도가 1 두번째 자유도는 오차항 자유도 dfE를 갖는 F 분포를 따른다. 직교 대비 각각의 대응되는 계수들 Ci.. 2021. 12.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