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도함수2 분포함수, 확류 변수의 평균과 분산, 함수 - 3주차 정리 참조 문헌 1.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 Walpole, Myers, Myers and Ye 2. Statistics for Management and Economics, Keller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 분포함수 F(x)는 확률변수 X의 누적확률을 나타낸다 또한 대문자 F(x)라고 표현함을 주의하라 F(x)=P(X P(X=0)=1/8, P(X=1)=3/8, P(X=2)=3/8, P(X=3)=1/8 위 그래프를 볼때 0이 되기 직전까지 누적확률이 0임을 기억하자. 추가적으로 기억해야할 점은 이산형 확률변수의 분포함수 F(x)는 우측 즉 x=3부터 무한대까지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위 예를 통해 알 .. 2021. 9. 22. 확률 변수, 이산형 확률 변수, 연속형 확률 변수 - 3주차 정리 참조 문헌 1.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 Walpole, Myers, Myers and Ye 2. Statistics for Management and Economics, Keller 확률변수(random variable) 확률 실험의 발생 가능한 결과에 하나의 값을 배정하는 함수이다. - 주로 확률변수는 영어 대문자 X,Y,Z 등을 사용함 - 모든 확률변수는 고유한 확률분포를 따름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동전 1개를 3회 던지는 실험 동전의 앞면을 H, 뒷면을 T라고 가정했을 때 {HHH}{HHT}{HTH}{THH}{HTT}{THT}{TTH}{TTT} 이렇게 8개가 나온다. 확률 변수의 경우는 각각의 결과들을 숫자로 변환을 .. 2021. 9.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