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산 증폭기2

연산 증폭기 차동 증폭기(op-amp differential amplifier) 차동 증폭기가 왜 쓰이는지, 차동증폭기에 대한 어원은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단일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가 어떤 측면에서 우수한지 설명하고 있다.) 2021.10.13 - [전공(Major)/전자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설계] - 단일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의 차이점과 장단점 정리 단일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의 차이점과 장단점 정리 이번 포스팅은 차동증폭기를 제대로 이해하는데에 앞서 에피타이져의 식으로 장단점과 단일 증폭기에 대한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과 차동증폭기 본문의 분량이 많아질 것을 우려해 해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아래 링크에서는 차동 입력, 공통 입력에 대한 어원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2021.10.15 - [전공(M.. 2021. 11. 8.
OP Amp 반전, 비반전 증폭기 실험 해설(회로이론 1 실험) 이번 포스팅에서는 OP-Amp의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회로이론 레벨에서 진행이 됨으로 전자회로 실험에서 진행하시는 실험은 전자회로 실험에 따로 글을 올릴겁니다.) 머릿말 먼저 OP-Amp에 대해 첫 실험을 하시는 분들은 보고서에 대해서 증폭기의 단자들과 심볼, 전압 특성에 대해 적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용어 설명 및 특성, 심볼에 대해 아시는 분들은 이 부분은 생략 가능합니다)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도록 하죠 실험에서 다루게 되는 8Pin 을 가지는 OP-Amp 입니다. 주의깊게 봐야하는 부분은 2, 3, 4, 6, 7번 핀들입니다. 표 1. 핀별 명칭과 역할 Pin No. 명칭 역할 1 Offset null 노화 또는 결함 때문에 성능 저하에 대한 보상을 위한 보조.. 2021.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