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S AC1 공통 소스, 소스 폴로워, 공통 게이트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of Common Source, Gate and Source Follower) 이번 Chapter 6의 내용은 밀러 근사를 이용하지 않고 KCL을 통해 극점과 영점을 전부 보는 연습을 하도록 한다. 밀러 근사를 이용하는 건 Stability를 다루는 챕터에서 많이 다루도록 한다.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학습 1. 기초 회로 해석기법 (KCL, KVL 등..) 2. MOSFET의 기생 Cap 성분 3. 전달함수와 극점과 영점 공통 소스(Common Source) 드레인 노드에 KCL을 적용하여 주파수 응답을 알 수 있다. CL은 뒷단과 연결된 커패시턴스 성분을 의미하는데 드레인-벌크 커패시턴스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사진 1을 통해 소신호 해석을 통해 KCL을 구하면 아래 식 1과 같다. 식 1을 정리하고 전압이득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영점(분자)과 극점.. 2021. 11.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