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6 고체전자물리(반도체 공학) 교재 추천과 공부했던 방법 안녕하세요 배고픈 노예입니다. 이번에는 고체전자물리 또는 반도체 공학이라 불리는 과목을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추천드리는 도서와 이 과목을 어떻게 공부했는지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저는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공부했는데요 1. 아래에 추천하는 도서 두권 2. 구글 검색 3. 인강 1. 추천 도서 두권 주 교재는 반도체 소자공학으로 공부를 하고 부교재로 고체전자공학으로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고체전자공학 같은 경우에는 앞부분 설명(Chapter 1 ~ 4)을 길게 하는 반면에 반도체 소자공학같은 경우에는 앞부분(Part 1)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명했습니다만 전체적인 해당 전공의 흐름을 파악하는데는 반도체 소자공학이 제일 좋았습니다. 저는 앞 슈뢰딩거 방정식, 양자우물 등 까지 밴스트리트만 교재로 .. 2021. 5. 18. Slew Rate란 무엇인가? 본 글은 실험을 위해 간단하게 적은 내용이다. 자세한 이론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 들어와주시면 되겠습니다. 2023.03.19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슬루율(Slew Rate)과 최대 전력 대역폭(Full power bandwidth)에 대해 알아보자 슬루율(Slew Rate)과 최대 전력 대역폭(Full power bandwidth)에 대해 알아보자 본 포스팅은 op amp에서 다루는 비이상적인 효과인 slew rate에 대해 알아본다. 실험에서 설명하는 간단한 방법은 아래 링크에 언급해 놓았다. 2021.05.16 - [실험 관련/회로이론 실험] - Slew Rate란 무엇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이상적인 OP Amp는 어떤 입.. 2021. 5. 16. LTspice에 OP amp 추가하는 법(Adding OP-AMP parameter to LTspice) 안녕하세요 배고픈 노예입니다. 학부생들에게 권장하는 스파이스 프로그램중 하나인 LTSPICE의 OP-AMP를 추가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려 합니다. LTSPICE에서는 OPAMP를 따로 추가해야하는 과정이 있는데 아래의 과정을 보고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1. 구글 검색 키워드 입력 "lm741 op amp ltspice"를 검색하거나 아래에 링크를 들어가주세요 https://www.ti.com/product/LM741 2. 파일 다운받기 홈페이지 화면에 들어가면 하단에 "LM741 PSPICE MODEL" 옆에 다운로드(화살표 참고)를 클릭합니다. 3. LTspice에 추가하기 파일을 받으면 압축 파일로 나오게 되는데 압축 해제를 하셔서 (정리하고 싶은 자리에 위치를 하던 본인이 원하는 자리에 파일을 둔 .. 2021. 5. 14. 컨택 후 교수님 면담(면접) 준비사항 (대학원 입시 준비) 아래 소개된 포트폴리오 양식은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30221114717525bj 대학원 지원서 포트폴리오 양식 아래 링크에서 보여준 포트폴리오 예시에 대한 파일은 아래에 있다. 무단 사용을 고려해 500원에 확인할 수있다.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23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25 contents.premium.naver.com 위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 오늘은 대학원 입시라는 카테고리의 마지막 절차인 면접 준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면접에 대한 내용은 그리 특별하지 않습니다. .. 2021. 5. 12. OP Amp 반전, 비반전 증폭기 실험 해설(회로이론 1 실험) 이번 포스팅에서는 OP-Amp의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회로이론 레벨에서 진행이 됨으로 전자회로 실험에서 진행하시는 실험은 전자회로 실험에 따로 글을 올릴겁니다.) 머릿말 먼저 OP-Amp에 대해 첫 실험을 하시는 분들은 보고서에 대해서 증폭기의 단자들과 심볼, 전압 특성에 대해 적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용어 설명 및 특성, 심볼에 대해 아시는 분들은 이 부분은 생략 가능합니다)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도록 하죠 실험에서 다루게 되는 8Pin 을 가지는 OP-Amp 입니다. 주의깊게 봐야하는 부분은 2, 3, 4, 6, 7번 핀들입니다. 표 1. 핀별 명칭과 역할 Pin No. 명칭 역할 1 Offset null 노화 또는 결함 때문에 성능 저하에 대한 보상을 위한 보조.. 2021. 5. 11. 소스 폴로워 (Source Follower) 실험 해설 (Chapter 7. MOS Amplifier) 이번 포스팅은 MOSFET Amplifier 토폴로지 중 하나인 소스 폴로워(소스 팔로워, Source Follower)입니다. 소스 폴로워는 게이트 단자에 입력을 인가하고, 소스 단자에 출력이 나오게 됩니다. (그림 1 참조) 다른 증폭기들처럼 공통 게이트, 공통 소스가 아닌 "소스 폴로워" 라는 이름은 왜 붙게 되었을까요?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드레인 전압이 충분히 주어졌다 가정하고) 게이트 전압이 문턱전압을 지나가면 Vout을 따라가기(Follow) 때문입니다. Small Signal Equivalent Circuit(소신호 등가회로)에서는 어떻게 될까요? 그림 3에서 주어지는 소신호 등가회로에서 KCL 을 적용하여 식 1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실험 해설이라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만 7월 ~.. 2021. 5. 10.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