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 릿 말
안녕하세요 배고픈 노예입니다.
오늘은 옴의 법칙과 전력 소모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옴의 법칙

저항(레지스턴스, resistance)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저항)하기 위한 물질의 특성입니다 이 저항을 회로 소자로 모델링 하면 위의 사진 처럼 표시하게 되죠.
이를 저항(기)(resistor)라고 부르며 저항 값을 R이라 표현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헤이트 예제)

먼저 좌측에 있는 저항을 보게되면 전류의 방향이 전압 강하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됩니다.
V=볼트 단위의 전압
I=암페어 단위의 전류
R= 옴 단위의 저항
식 1에서 전압은 전류 또는 전압에 비례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게 실험에서 다루는 저항은 저항값이 고정되어 있습니다만 가변저항을 사용한다면 전압이 바뀌는 것을 알 수 있겠죠.
우측에 있는 저항을 보면 전류가 전압 상승을 하고 있으면 전압에 대한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해가 가지 않으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1.07.13 - [전자회로의 이해/Basic] - 전압과 전류, 전력과 에너지 / 회로이론 기초
전압과 전류, 전력과 에너지 / 회로이론 기초
오늘은 전압, 전류의 개념들은 공학적인 관점에서 유용한데, 전압과 전류를 정량적으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전력, 에너지에는 전압 및 전류가 회로를 해석과 설계에 대해 유용하지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저항의 역수는 컨덕턴스(Conductance)입니다. 단위는 저항의 단위 ohm 의 반대 표현으로 mho로 읽습니다.
여기서 resistance와 conductance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resistance는 전류의 흐름을 얼마나 방해하는가 conductance는 전류를 얼마나 잘 흘리게 하는가로 말할 수 있습니다.
잠깐 설명을 더 붙여보자면 회로이론이란 과목에서는 컨덕턴스의 개념이 그리 중요하게 생각이 들지 않지만 좀 더 상급 과목인 전자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모델에서 컨덕턴스가 자주 나오게 됩니다. 그 외 RF에서의 믹서 등등 다른 회로에서도 많은 표현을 합니다.
전력

** 알려지지 않은 값은 하늘색으로 표시
(a) 회로에는 전압과 전류를 알고 있을 때 위 회로망의 전력 소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b) 회로 같은 경우전류와 전류와 저항의 값을 알 고 있을 때 전력의 표현은 아래와 같습니다.
V=IR이므로 대입을 하게 되면 전류 값의 제곱과 저항의 곱으로 표현으로 가능합니다.
(c) 회로 같은 경우에 전압과 저항값을 알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전압의 제곱을 저항값으로 나누어서 표현이 가능합니다.
저항 대신 컨덕턴스로도 전력의 표현이 가능한데요. 식 (7),(8)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서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항과 컨덕턴스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회로망 구조에서의 전력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의 하단에 있는 공감버튼(❤️)을 눌러주시면 포스팅을 쓰는데 더 좋은 원동력이 되고
블로그의 구독은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회로 관련 전공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항회로와 전압분배 전류 분배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7.24 |
---|---|
키르히호프 전압, 전류 법칙 완벽히 알아보자 (1) | 2021.07.22 |
전압원과 전류원, 종속 전원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1.07.19 |
전압과 전류, 전력과 에너지 / 회로이론 기초 (0) | 2021.07.13 |
전자회로에서 표현하는 증폭기란? (0) | 2021.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