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로 관련 전공123 피드백 회로의 불안정성 문제와 바크하우젠 조건을 알아보자 이 글은 피드백 챕터의 9번째 진도이면서 주파수 안정 및 보상의 첫번째 진도입니다. (위상에 대한 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지식을 얻고 오시길 바랍니다) 2022.01.19 - [전공(Major)/전자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설계] - 보데의 법칙을 통해 회로의 전달함수H(s), 극점(pole), 영점(zero), 위상(Phase)을 알아보자 보데의 법칙을 통해 회로의 전달함수H(s), 극점(pole), 영점(zero), 위상(Phase)을 알아보자 해당 내용은 OP-amp 미분기 적분기, 회로의 주파수 응답, 피드백 단원 이후에 주파수 보상 및 안정성 내용을 읽기 전에 읽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크기(Magnitude)에 대해 읽으시려면 처음부터 읽으시 doctorinformationgs... 2022. 1. 19. 보데의 법칙을 통해 회로의 전달함수H(s), 극점(pole), 영점(zero), 위상(Phase)을 알아보자 해당 내용은 OP-amp 미분기 적분기, 회로의 주파수 응답, 피드백 단원 이후에 주파수 보상 및 안정성 내용을 읽기 전에 읽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크기(Magnitude)에 대해 읽으시려면 처음부터 읽으시고 위상(Phase)에 대해 읽으시려면 아래 "Chapter 12 주파수 보상 및 안정성" 부분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원래는 자세히 적으려 했으나 회로를 해석하는데에 있어 중요한 부분만 설명하려 한다. 해당 내용만 완벽하게 알아도 회로를 이해하는데에 있어서 아무런 지장이 없다. 전달 함수와 주파수 응답과의 관계 회로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0는 낮은 주파수 이득을 이야기하며 흔히 DC 이득(직류 이득) 이라고도 불린다.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 공통 소스(CS)인 경우 우리가 배웠던 gm.. 2022. 1. 19. 피드백 회로의 비이상적인 입출력 임피던스의 영향(Effects of non-ideal input/output impedance of feedback circuits.) 이 글은 피드백 회로의 여덟번째 진도입니다. 해당 내용은 모든 피드백 토폴로지들을 이해했다는 가정하에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 7 번째 진도들을 읽고 이해하거나 다른 창(window)에 띄워서 읽으세요) 이전 진도들은 맨 아래에 있는 전자회로 2 과정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급 교재에서 증명과정을 언급하고 있지만 학부 레벨에서는 생략된 부분이 많다. 이상적인 입출력 임피던스가 피드백 형태에 다라 전압이나 전류가 감지하냐, 반송하냐에 따라 임피던스가 매우 작거나 크다고 가정함을 알 수 있었다. 유한한(비이상적인) 입출력 임피던스는 회로의 성능을 변화시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순방향 증폭기를 부하(Load)의 효과(Effe.. 2022. 1. 17. 전류-전류 피드백 증폭기(or 귀환, 궤환 증폭기), 병-직렬 피드백 증폭기의 임피던스를 알아보자 이 글은 일곱번째 진도이며 귀환 토폴로지의 마지막 진도입니다. 앞에서 설명한 이론적인 부분들이 있습니다. 이전 진도를 읽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트랜스컨덕턴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2021.12.28 - [전공(Major)/전자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설계] - 증폭기의 형태(Types of Amplifier) 증폭기의 형태(Types of Amplifier) 이 글은 증폭기에 대한 형태를 알 수 있고, 회로를 해석하는데에 있어 초심자들에게 유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포스팅은 피드백 회로관련 글의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이전 글 2021.12.24 - [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이 글은 신호의 감지 .. 2022. 1. 14. 전자회로 1 커리큘럼 전자회로 1 커리큘럼입니다. 기본적으로 반도체 공학에서 배웠던 능동소자(Diode, BJT, MOSFET)를 통해 단일 증폭기를 설계한다. 회로를 해석하는데에 있어 회로이론에서 배운 회로 해석기법을 사용한다. Chapter 1 - 7 까지는 낮은 주파수에서 회로를 해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테브난, 노턴 등가회로까지의 해석기법을 알면 회로 해석이 가능하다. 전자회로 1과정의 선행 과목은 아래와 같다. 반도체 공학, 회로이론 1 ... 반도체 공학은 배우지 않아도 반도체 물리 챕터에서 잘 이해만 하면 큰 무리는 없다. 전자회로 1 내용을 알아야 더 복잡한 회로를 다루는 전자회로 2, 아날로그 회로설계 등 상급 교재를 이해하는데에 있어서 지장이 없다. Chapter 제목 중요성 난이도 Chapter 1 전자 회.. 2022. 1. 13. 전자회로 2 커리큘럼 전자회로 2 커리큘럼입니다. 전자회로 2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자회로 1에서 배웠던 능동소자(Diode, BJT, MOSFET)에 대해 학습했으며 그에 대한 다이오드 회로 및 단일 증폭기인 공통 소스 또는 이미터, 공통 게이트 또는 베이스, 소스 폴로워 또는 이미터 폴로워 회로 해석을 배웠다. 전자회로 2 과정에서는 실제 자주 사용되는 캐스코드, 차동 증폭기와 같은 내용들을 다루고 더 나아가 높은 주파수에서 회로가 동작할 때 생기는 현상을 주파수 응답을 통해 해석하고, 피드백, 전력증폭기, 발진기와 같은 내용들을 다루게 된다. 전자회로 2 솔루션 정리 2023.03.03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마이크로 전자회로 3판 solution 통합 글 마이크로 전자회로 3.. 2022. 1. 1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