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로 관련 전공123

전압원과 전류원, 종속 전원에 대해 알아보자 머 릿 말 안녕하세요 배고픈 노예입니다. 오늘은 전압원(Voltage Source), 전류원(Current Source)의 독립 전압원(independent Voltage Source, )과 전류원(independent Current Source) 마지막으로 종속 전압원과 전류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로이론이라는 과목을 수강하거나 독학을 할 때 독립 전압원, 종속 전압원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되었던 경험이 있는데 독립 전원, 종속 전원이 어떻게 구분이 되는지 이해하기 쉽게 다양한 예시를 통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아래는 목차 입니다. 이상적인 전압원과 전류원 독립 전원 종속 전원 원(源, Source)의 의미 (살짝 부록같은 느낌) 이상적인 전압원과 전류원 (Ideal Voltage Sour.. 2021. 7. 19.
전압과 전류, 전력과 에너지 / 회로이론 기초 오늘은 전압, 전류의 개념들은 공학적인 관점에서 유용한데, 전압과 전류를 정량적으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전력, 에너지에는 전압 및 전류가 회로를 해석과 설계에 대해 유용하지만 시스템의 유용한 출력은 종종 비전기적이고, 전력과 에너지의 항으로 편리하게 표현이 됩니다. 회로를 해석하는데에 있어서 전압과 전류가 어떻게 표현이 되는지에 대해 간단히 이해만 해도 회로이론이라는 전공을 이해하는데에 있어 큰 문제가 없으니 아래의 설명만 간단하게 읽어만 주세요. 전 압(Voltage) 전압(Voltage)은 전하(q) 분리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위 전하당 에너지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미분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다. $$v=\frac{dw}{dq}$$ v=볼트(volt) 단위의 전압 w=줄(jouel) 단위의.. 2021. 7. 13.
전자회로에서 표현하는 증폭기란?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폭기란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1. 증폭기는 왜 필요할까? 2. 증폭기의 심볼과 수식 3. 데시벨(decibel) 표현 증폭기는 왜 필요할까? 증폭기는 작은 신호를 증폭시켜주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흔한 예 독자님과 글쓴이인 배고픈 노예와 통화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제가 말하는 목소리가(신호가) 핸드폰 마이크에 입력이 되고, 독자님에게 저의 목소리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그 신호가 독자님께 가면서 신호는 여러 저항 요소들로 인해 신호의 세기는 많이 약해졌을 겁니다(uV or mV) 이런 약해진 신호가 독자님의 수신기(receiver)에 약해진 배고픈 노예의 음성 신호가 들어가 독자님의 귀로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증폭을.. 2021. 7. 2.
연산 증폭기 응용 1편(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에 대해 간단한 언급은 아래의 회로이론 실험에 간략하게 적어놓았습니다. 2021.05.11 - [실험 관련/회로이론 실험] - OP Amp 반전, 비반전 증폭기 실험 해설(회로이론 1 실험) OP Amp 반전, 비반전 증폭기 실험 해설(회로이론 1 실험) 이번 포스팅에서는 OP-Amp의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회로이론 레벨에서 진행이 됨으로 전자회로 실험에서 진행하시는 실험은 전자회로 실험에 따로 글을 올릴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이 글에서는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 반전과 비반전 증폭기 응용이 어떻게 증명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전 증폭기 연산 증폭기의 응용에서는 증폭기를 수식해주는 단어에.. 2021. 6. 26.
연산 증폭기 기초 (Op amp basic) 목차 1. 연산 증폭기에 대한 간략한 서론 2.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 부록 1. 증폭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 연산 증폭기에 대한 간략한 서론 연산 증폭기는 요즘 개별 및 집적 회로 즉 능동 필터, 디지털 카메라의 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같은 넓은분야에서 사용이 됩니다. 상급 교재에선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op amp)를 트랜지스터 레벨에서 설계를 배우지만 학부레벨에서는 하나의 "블랙 박스"로 표현하여 연산 증폭기에 대해 알아갑니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 아래 그림을 보게되면 연산 증폭기(op amp)의 심볼인데 통상적으로 3 단자(Three-Terminal)로 표현을 합니다만 공급전압을 표현하는 심볼도 간혹 있습니다(시뮬레이션을 하는 경우에는 공급.. 2021. 5. 29.
RF에 대한 기초를 얻기 위한 좋은 책 오늘 소개할 책은 "RF 기초강의실"이라는 책입니다. 전자공학계열 학부 2~4학년 사이에 교양도서로 읽었으면 하는 좋은 교재이죠 * 왜 이 책을 추천할까? RF에 관한 어려운 내용(스미스 차트, 고조파 왜곡 등)과 여러 용어 그리고 RFIC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이 책 한권에 담고 있습니다. 세미나를 준비할때와 어려운 내용을 다시 한번 찾아보고싶을 때 이 책을 다시 피고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처음에 사수가 삼성 유투브 채널의 신입사원의 자리에 있었다던 그 책!") 1장 2장 4장 같은 내용은 여러분들이 3학년 전공(마이크로파 회로설계, 전자회로)을 하다보면 내용은 이해했는데 어디에 쓰이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거든요 예를들어 50옴이라던지, 대신호와 소신호의 차이점이라던지 이런 부분들에 대해 궁금점.. 2021.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