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로 관련 전공123

단일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의 차이점과 장단점 정리 이번 포스팅은 차동증폭기를 제대로 이해하는데에 앞서 에피타이져의 식으로 장단점과 단일 증폭기에 대한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과 차동증폭기 본문의 분량이 많아질 것을 우려해 해당 글을 나눠 이번 포스팅을 적음 구분(W/L)이 같은 경우 동작 장단점 단일 증폭기 하나의 CS 또는 CG를 통해 입력 신호를 증폭함 장점 : 차동 증폭기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다 단점 : 차동 증폭기에 비해 전압이득이 적다 잡음이 들어온 경우 신호의 손상 발생 차동 증폭기 서로 반대인 위상을 입력으로 받는 두개의 CS를 통해 출력 전압을 증폭시킨다. 장점 : CS에 비해 전압이득은 같지만 잡음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다. 단점 : CS가 추가됨으로써 전력소모가 2배 단일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의 출력 먼저 사진 1. 단일 신호의 .. 2021. 10. 13.
공통 소스 증폭기 개념과 응용 회로들을 알아보자 CS amp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다룹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40208151552395ex [전자회로 1] MOS 바이어스 회로 해당 영상은 아래 포스트에 담겨진 내용과 전자회로 1에서 MOS 증폭기 중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서 다룹니다.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290 결제후 영상과 필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공통 소스 증폭기(Common Source Amplifi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 2021. 10. 13.
소신호 등가모델(Small Signal Equivalent Model)에 알아보자 2차 수정 22.03.06 소신호 동작(Small Signal Operation)이란 무엇일까? DC는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 특정의 바이어스 점을 잡았다고 하였을 때 아주 작은 신호의 변화는 I/V 커브에서 점으로 보일겁니다. (RF 회로에서의 입력은 -70 dBm 이하의 신호가 들어감 따라서 매우 작은 신호 즉, I/V 커브 관전에서 보았을 때 점처럼 생긴 신호가 들어가는 것임) 보충 설명 아래 링크 그림 2와 3이 작은 신호에 대한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02.17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다이오드의 대신호(Large-Signal)와 소신호(Small-Signal) 동작에 대해 알아보자 다이오드의 대신호(Large-Signal)와 소신호(Small-Signal) 동작.. 2021. 10. 9.
트랜스컨덕턴스(gm)의 의미 Transconductance(트랜스컨덕턴스) 왜 알아야 할까? 능동 소자(BJT, MOSFET)같은 소신호 회로해석에서 트랜스 컨덕턴스는 항상 나온다. 이번 포스팅에선 그 의미를 여러 책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쓰기 위해 작성이 되었다. 일단 트랜스컨덕턴스는 MOSFET에서 포화영역, BJT에선 active 영역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그 뒤에 언급되겠지만 소신호 회로 해석은 정해진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모델이니까) / 물론 포화영역도 가능하지만 잘 쓰지 않는다. 트랜스컨덕턴스의 의미 어원을 먼저 살펴보자 trans : 넘어서, 꿰뚫고, 다른쪽에, 초월하여, ~의 저쪽에 conductance (전기나 열의) 전도도 전도도 : 도체의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수, 전기 저항률의 역수.. 2021. 10. 9.
입출력 임피던스는 왜 필요할까? 의문점 학부시절에서 어디에서 보는 임피던스를 항상 물어본 것이 기억이 난다. 회로이론에서는 어떤 두 노드에서 보이는 임피던스, 전자회로에서는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를 항상 구하게 된다. 근데 이상한 교재의 설명이 참으로 나를 설득시켜주지 못했다. 그래서 왜? 필요해? 안맞으면 뭐 어쩌는데?를 시험기간, 과제를 제출하면서 종종 한번씩은 느낄 것이다. 그럼 왜 필요한지 알아보자 이번 글은 왜 입력 출력 임피던스를 구하는지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는 것이다. 왜 필요한데? 간단하게 말하자면 손실을 줄여주기 위해서다. 여러분들이 "마이크로파 공학", "RF 전자회로(대학원 과정)"에서 설명이 어느정도 되어있지만 A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는 50옴이고 A증폭기와 이어지는 B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가 100옴이라.. 2021. 10. 7.
다이오드 회로의 일정전압모델 해석 PN접합에서 다이오드는 전류를 흘리기 위해 문턱전압과(threshold voltage) 이상의 전압을 다이오드에 인가를 해야 전류가 흐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정 전압모델은 Vout/Vin 그래프를 이상적인 다이오드 회로 해석에 비해 조금 더 정확하고, 복잡한 지수모델 해석에 비해 쉽게 회로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몇 개의 예제만 풀어보면 일정전압 모델이 어떻게 해석이 되는지 알 수 있으니 간단한 설명과 예제들을 적게되는 구조로 이번 포스팅을 진행하려합니다. 이전에 언급했던 이상적인 다이오드회로 해석은 아래의 링크에 있습니다. 2021.10.02 - [전공(Major)/전자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설계] - 이상적인 다이오드 회로의 이해(회로기초, 측정을 통해 이해해보자) 이상적인 다이오드 회로의 이.. 2021. 10.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