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로 관련 전공123

이상적인 다이오드 회로의 이해(회로기초, 측정을 통해 이해해보자) 좀 더 자세한 내용들을 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녹화된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31018154234020au [전자회로 1] 이상적인 다이오드(1) 해당 영상은 아래 포스트에 담겨진 내용과 전자회로 1에서 이상적인 다이오드 부분을 다룹니다.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118 결제후 영상과 필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31018154416848os.. 2021. 10. 2.
MOSFET의 동작영역을 알아보자 현재 1차 작성(21년 9월) 물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싶지만 주제가 전자회로 파트이니 동작 중심으로 어떻게 돌아가나 위주로 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정성적인 해석을 위주로 이에 대한 결과에 대한 수식으로 적는 것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시간이 남으면 2차 개정을 통해 정량적인 해석도 추가 MOSFET 구조 이후에 등장할 식과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MOSFET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봐야할 것은 W는 MOSFET의 폭, L은 MOSFET의 n+로 도핑된 소스와 드레인 단자의 거리이다. MOSFET의 동작 영역 간단하게 아래의 표. 1과 같이 간단하게 동작을 나누어 표현이 가능하다. 표 1. 동작 조건과 이름 구분 해당 영역의 동작 조건 전류의 함수(2차 효과 고려x) 전류의 함수(2차 효과 고려.. 2021. 9. 28.
밀러 이론(Miller Theorem) 밀러 효과 하나의 부유(Floating) 임피던스를 2개의 접지된 임피던스들로 변환 시키는 방법이며, 부유 임피던스가 커패시터인 경우 각 노드에 하나의 극점을 연관시키도록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 부유 임피던스는 입력 임피던스를 낮춰주고 출력 임피던스를 높여주게 된다. 밀러 이론 해석 사진 1에서의 회로는 부유 임피던스를 사진 2와 같이 2개의 접지된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알 수 있게 하고, 해당하는 임피던스가 극점을 가지고 있는 임피던스(대부분 기생 Cap)가 각 노드에 하나의 극점을 연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진 2는 밀러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그려진 일반적인 회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구성은 사진 1과 비슷한 구조임을 이해해야 한다. 사진 2. 에서 노드 1의 전압인 V1 과 노드 2의 .. 2021. 9. 15.
아날로그 회로설계 개요 22.02.07 2차 수정 완료 사전 지식 1. 회로이론 회로이론을 통한 테브난, 노턴, KCL, KVL 등 중요한 회로 해석법을 배움으로써 복잡한 회로를 해석할 때 유용하게 도움이 된다. 2. 전자회로 본 과목은 전자회로과정보다 상급 교재에 속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큰 틀은 전자회로를 벗어나지 않지만 문턱이하 영역, 잡음, 피드백, 밴드갭기준회로, 심화 발진기 회로와 같은 전자회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기존에 회로이론에 대한 기초 내용들을 업로드 해놓았음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링크를 타고 학습이 가능하다. 2022.01.13 - [전공(Major)/전자회로 1 과정] - 전자회로 1 커리큘럼 전자회로 1 커리큘럼 전자회로 1 커리큘럼입니다. 기본적으로 반도체 공학에서 .. 2021. 9. 1.
중첩(Super Position)의 원리 중첩, 간략한 서론 회로이론이라는 과목을 하면서 중첩을 도대체 "왜? 어디서? 써먹는거지?" 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두 개이상의 전원을 사용한 회로(브레드 보드 or 빵판)를 실험했을 때 어떤 가지(branch)에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했을 때 중첩이 된 값을 측정했었던 것을 알 수 있었죠. (전류를 올바르게 측정한거 같은데... 전류의 방향이 반대의 값을 가진 것을 확인한다던가, 전압의 값이 다르다는 것도) 우리는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서 중첩이 된 값을 중첩의 원리를 통해 회로 해석으로 각 전원이 얼마만큼의 전압, 전류가 인가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첩을 통한 회로 해석을 하는 겁니다. 전압원-전류원 예시 회로를 이해하면 다른 전원인 전압원-전압원, 전류원-전류원 회로도 충분히.. 2021. 8. 18.
전원 변환에 대해 알아보자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중에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맨 처음 KVL과 KCL에 대해 기초를 닦고 그 다음 노드 전압법과 망 전류법을 통해서 조금 더 해석하는 방법을 찾았었죠 이것들 외에도 여러가지의 회로 해석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테브난과 노턴, 중첩을 하기 위해서 거쳐야하는 중요한 회로 해석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전원 변환(Source Tranformation)을 설명하려 합니다. 전원 변환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상적인 전압원과 전류원과 실제 전압원과 전류원을 이해를 하고 전원 변환을 알게 된다면 더 오래 기억이 남게 됩니다. 이상적인 전원과 실제 전원 이상적인 전원과 실제 전원을 알아가기 앞서 전류원이 0A, 전압원이 0V이면 어떻게 될까요? 이 질문에 대해 답을 할 수 있어야 이상적인.. 2021.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