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6 동계 방학 일정과 앞으로의 계획 허허 어느덧 21년의 마지막이 왔네요. 6개월 정도 블로그를 한 것 같은데 많은 분들이 오셨습니다. 뭐랄까... 복습 노트겸으로 썻지만 글들이 상단 노출이 된 글이 많고 해서 나름 괜찮았나..?? 봅니다 하하.. 12월 20일 - 12월 31일 1. 전자회로 Feedback (궤환, 귀환) 이 두 파트를 상급 교재 part와 일반 교재 둘 다 적을 예정입니다. 2. 확률과 통계 정리 못한 것들(한주 한 챕터씩.. 9주차 - 12주차까지 밀렸으니.. 천천히) 정말 재미없는 교과목이지만... 일단 해보는 걸로 @@ 잡음 파트도 다루고 싶네요.. 잡음이 어렵고 해서 아주 길게 쓰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12월 결과 보고 : 내용이 상당히 길어져서 피드백을 1월 중순? 까지 작성햇네요.. 피드백 부분의 보드.. 2021. 12. 20. 공과대학 학습에 대한 느낀점과 나의 공부법 이 글은 전자공학, 융합전자공학, 전자전기통신과 같은 전공에 기반하여 쓴 글입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과 대학 수업은 너무 어려워 수능을 마치고 갓 대학에 들어와서 우리는 교수의 강의 스타일에 놀라곤 한다. 잠깐 졸았는데 "어? 뭐야 이게 어떻게 된거야?"라는 당황함을 감추지 못한다. 그리고 수업을 하는 교수의 강의 스타일이 너~무 별로여서 솔직히 학부 1, 2 학년때만 해도 공부에 흥미가 없었다. 가뜩이나 공고에서 올라와 대학 수업을 들을 때 이과 수학, 물리가 너무 어려웠다. 공고에서는 물리, 화학, 이과 수학에 대해 전혀 알려주지 않았었고, 집안 형편 때문에 과외나 학원 갈 돈이 없어서 혼자 도서관에서 누가 알려준 것 없이 문제를 풀기만 했었을 뿐이다. 당연하게 공고 특성상 취업률.. 2021. 12. 17. 잡음을 고려한 차동증폭기 회로 설계(Desig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sidering Noise) 전체적인 설계 정리 1. 토폴로지 선택(저항, 캐스코드, 축퇴형) - 제일 간단한 저항성 부하를 먼저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Length를 선택 - 해당 공정에서 제공하는 가장 낮은 L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3. Vov를 선택 4. 출력 잡음 요건을 만족하는 CL을 계산하고 만약 CL*>CL이면 CL을 CL*로 대체한다 5. 키 디자인 방정식으로 부터 드레인 전류를 구한다. 6. 바이어스 전류를 위한 W와 부하저항을 계산한다. 1) W 2) 부하저항 서 론 잡음은 10년전만 해도 심각하게 고려되지는 않았다. 전압 마진은 data-rate가 올라감으로써 감소되었으며 신호들은 결적정인 간섭들에 의해서 좀 더 방해받게 되었다. 현대 고속 설계는 적절한 동작을 위한 잡음 해석이 필요하다. 목표 출력 잡음을.. 2021. 12. 13. 단방향 피드백과 양방향 피드백을 알아보자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다보니.. 내용이 산으로 가는 느낌이 든다. 혼란 스러워도 넓은 이해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방향과 양방향 피드백 한방향 피드백(Unilateral Feedback) 한방향 피드백은 신호가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자회로 2에서는 그림 1과 같은 내용의 회로를 배웠을 것이며 이번 글은 상급 교재의 내용으로 양방향 피드백을 알아가고자 할 것이다. 양방향 피드백(Bilateral Feedback) 양방향 피드백은 신호가 두개의 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제 그림 1과 2에 있는 A_∞, d, T, 반환율에 대해 알아보자 반환율(Return-ratio) 해석 : 반환율 해석은 최소한의 근사치로 정확한 결과를 산출한다. A∞ : 피드백 회로가 이상적일.. 2021. 12. 11. 적합도검정(카이제곱 검정), 비모수검정, 다변량분석 소개 - 15주차 정리 적합도검정(카이제곱 검정) 적합도 검정에서는 예제문제를 통한 풀이로 이해하도록 한다. 예제 1. 주사위를 120 회 굴렸을 때 나온 결과이다. 각 숫자가 나올 확률은 동일한지 유의수준 5% 에서 가설검정하라 위의 결과를 보고 가설 검정을 해보도록 한다. 1) 주사위 눈금 1에서부터 6이 나올 확률이 동일하게 1/6이 맞는가 H0 2) 아니면 H1, 적어도 하나의 확률은 다르다 그렇다면 이 주사위는 평등한 주사위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대해 가설검정을 할때 실제 주사위를 굴려서 나온 관측한 값을 o_i 라고 하고 만약에 귀무가설이 맞다면 기대되는 값은 ei 라고 한다. 만약 귀무가설이 맞다면 20회씩 나온다 실제 관측값과 그 다음 기댓값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그 차이를 구해서 그 값을 X^2이라 .. 2021. 12. 10. 저항과 MOSFET의 잡음해석(Noise Analysis of the Resistor and MOSFET) - 무잡음 신호와 잡음 회로 해석(Noiseless signal + Noise Circuit) 이 글은 Noise Chapter의 다섯번째 진도입니다. 앞에서 우리는 전체적인 잡음에 관한 기본적인 해석을 배웠으며 이제 회로의 잡음을 알아볼 것이다. 저항의 잡음부터 시작해서 MOSFET의 잡음까지 알아보게 된다. 잡음 회로(Noise Circuit) 그림 1을 보게되면 어떤 증폭기 스스로 잡음을 생성하게 된다. 스스로 잡음을 내는 것을 진성 잡음(Intrinsic Noise)라고 한다. 잡음이 없는 신호가 들어와도 증폭기가 잡음을 생성함으로 출력에는 잡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 이제 회로의 구성원인 수동 소자(R,L,C)와 능동 소자인 MOSFET까지 알아보자 다시 되돌아 보자 잡음의 구성 잡음의 구성은 첫번째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2021.12.06 - [전공(Major)/전자회로와 아날로그.. 2021. 12. 9.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