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에서 진행했던 내용들을 위주로 정리하여 학습해볼까 합니다.
취지는 기본적인 이해이며, 자세한 기법들은 논문을 통해서 확인합니다.
Chapter 1. 발진기 기본
2022.03.08 - [회로 관련 전공/VCO, PLL] -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대한 이론 정리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대한 이론 정리
1. Oscillator(발진기)에 대해 알아보기 2022.03.11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발진기의 기본 개념(Basic Concepts of Oscillator) 발진기의 기본 개념(Basic Concepts of Oscillator) 발진기를 이..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Chapter 2. 지터와 위상 잡음에 대한 소개
2021.12.06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회로 잡음 (Noise)과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의 이해
회로 잡음 (Noise)과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의 이해
개인적으로 글을 쓴 나는 잡음 파트에 정말 약했기 때문에 여러 서적들을 참고하여 적었기 때문에 나의 자습장처럼 적어놓은 느낌이 있을 것이다. 이 단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 확률과 통계[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2021.12.07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잡음 전력 계산
잡음 전력 계산
앞으로의 예제들을 풀면서 잡음에 대해 조금 더 알아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적이다. 이전 글은 아래에 링크를 걸어둘 것이다. 반드시 이전 포스팅을 읽어야 한다. 2021.12.0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잡음 입력과 무잡음 증폭기 해석(Analysis of noise input and noiseless amplifier)
이 글은 세번째 진도이다.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잡음의 종류를 알고, 잡음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을 명확하게 알 수 없으니 통계적 특징으로 잡음 전력을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하는 방법과 구하는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2021.12.09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를 알아보자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를 알아보자
이 글은 Noise Chapter의 네번째 진도이다.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아래 그림 1과 같이 증폭기가 정현파 신호를 받는다고 가정하게 되면 증폭기의 출력은 증폭퇸 신호와 함께 회로에서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저항과 MOSFET의 잡음해석(Noise Analysis of the Resistor and MOSFET) - 무잡음 신호와 잡음 회로 해석(Noiseless
이 글은 Noise Chapter의 다섯번째 진도입니다. 앞에서 우리는 전체적인 잡음에 관한 기본적인 해석을 배웠으며 이제 회로의 잡음을 알아볼 것이다. 저항의 잡음부터 시작해서 MOSFET의 잡음까지 알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2022.07.05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플리커 잡음(Flicker Noise)에 대해 알아보자
플리커 잡음(Flicker Noise)에 대해 알아보자
플리커 잡음은 1/f 잡음이라고도 불리며, 모든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열잡음 (Thermal Noise or White Noise)과 달리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잡음을 가진다. 개인 공부를 하면서 크게 플리커 잡음의 구성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지터(Jitter)와 위상 잡음(Phase Noise)의 기본 구성과 위상 잡음과 전력 사이의 Trade-OFF(상충 관계)
개인 복습 노트입니다. 부족함이 많습니다 추가적으로 보완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1. 무잡음 발진기 주기적이며 순간 주파수와 영점 교차(Zero Crossing)들은 시간에 대해서 변하지 않는다. (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Chapter 3. LC 발진기 설계
(Ring Oscillator는 저희 연구실의 메인 분야가 아니고 LC로 과제를 진행하기 때문에 링 발진기 파트는 생략 예정)
(7월 말, 8월 초 작성)
2022.07.18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LC 발진기의 인덕터 모델링과 LC 발진기의 장단점
LC 발진기의 인덕터 모델링과 LC 발진기의 장단점
개인적인 학습 노트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으니 많은 지적 및 수정 바랍니다. 1. LC 발진기의 장점과 단점 2. 인덕터 모델링 3. 위상잡음 분석 4. 주파수 튜닝과 이산 튜닝 LC 발진기 장점과 단점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2022.07.18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LC 발진기의 주파수 튜닝과 이산 튜닝
LC 발진기의 주파수 튜닝과 이산 튜닝
주파수 튜닝과 이산 튜닝 주파수 튜닝(Frequency Tunning) 주파수 튜닝에 대해서는 우리가 이전에 버렉터에 대해서 배웠다. 2022.05.07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MOS 소자의 커패시터 동작과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Chapter 4. 기본 PLL 구조들
2022.07.24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기본 PLL(Phase-Locked Loop) 구조와 TYPE-1 PLL에 대해
기본 PLL(Phase-Locked Loop) 구조와 TYPE-1 PLL에 대해
개인적인 학습 노트입니다. 모르는것도 많고 부족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단지 공부 한 내용들을 기억하고 싶어서 적게 되었습니다. PLL은 출력 위상을 입력 위상과 비교하는 피드백 시스템이다.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2022.07.25 - [회로 관련 전공/회로 과정 통합 글] - TYPE-Ⅱ(2) PLL에 대한 정리
TYPE-Ⅱ(2) PLL에 대한 정리
개인적인 학습노트입니다. 수업에 쓰였던 자료와 박병하 교수님의 "재능 기부 강의"를 참고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영상을 올려주신 박병하 교수님 감사합니다. PFD/CP PLL은 아래 그림 1과 같이
doctorinformationgs.tistory.com
Chatper 5. PLL 설계 고려사항들
(8월 중말 작성 완료)
Chapter 6. PLL 설계 학습
(8월 말, 9월 초 작성 완료)
'회로 관련 전공 > VCO, P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대한 이론 정리 (0) | 2022.03.0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