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6

공통 게이트(Common Gate, CG)에 대한 이론을 알아보자 이 글은 수기로 작성된 글이다. 시간이 남으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글을 수정할 것이다. 공통 게이트에 대한 자세한 이해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40218112232509zu [전자회로 1] 공통 게이트 증폭기 (Common-Gate Amplifier) 해당 영상은 아래 포스트에 담겨진 내용과 전자회로 1에서 MOS 증폭기 중 공통 게이트단에 대해서 다룹니다.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290 결제후 영상과 필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공통 게이트는 입력을 소스 단.. 2021. 10. 23.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 또는 공통 드레인(Common Drain,CD)에 대한 이론을 알아보자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 SF, 공통 드레인) 소스 폴로워에 대한 자세한 해석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informationgs/takeinformationgs/contents/240218112839629ks [전자회로 1] 소스 폴로워 또는 공통 드레인 (Source-Follower or Common Drain) 해당 영상은 아래 포스트에 담겨진 내용과 전자회로 1에서 MOS 증폭기 중 공통 소스단에 대해서 다룹니다. https://doctorinformationgs.tistory.com/290 결제후 영상과 필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뭐하는 녀석일까? 소스폴로워는 공통 드레.. 2021. 10. 23.
트랜지스터의 과도 주파수(Transit Frequency) 차단 주파수? 이게 뭔데 새로운 기술로 나날이 발전하느 반도체 소자 분야에서 소자들을 포함한 회로(여러가지 트랜지스터로 짬뽕해서 만든 회로)의 성능을 예견하는데도 유용하고 심지어 다른 소자들과 비교할 수 있는 어떤 기준점이 있다면 좋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든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MOSFET와 같이 기생 커패시턴스를 가지고, 최고 속도를 표현하는 양을 정의하는 것은 바로 과도(Transit) 또는 차단 주파수(f_T)이다. 과도 주파수는 전류 이득(beta)가 1로 떨어질 때의 주파수로 정의하는 것이다. 1차 작성은 결과만 몇 주내로 여러 문제들과 심도 있는 설명을 할 예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2021. 10. 22.
MOSFET의 커패시턴스 성분을 알아보자 낮은 주파수에서 MOSFET 회로 해석을 할 때는 MOSFET 내부에 있는 기생 커패시턴스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어갔다. 주파수가 점점 올라가면서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mosfet 회로의 성능을 감소시키게된다. LNA, Mixer와 같은 RF front-end 같은 경우 10 GHz 이상의 회로를 설계할 때 기생 커패시턴스와 싸움을 하게된다. MOSFET의 물리적 모델로부터 시작 물리적인 모델을 통해 MOS의 기생 커패시턴스는 아래와 같이 구분지을 수 있다. 구분 설명 C1 채널과 게이트 사이에 있는 산화 커패시턴스 C2 기판과 채널 사이에 있는 공핍 커패시턴스 C3, C4 게이트 폴리와 소스,드레인 영역과 겹침(Overlap)에 의한 커패시턴스 C5, C.. 2021. 10. 22.
모멘트 방법, 베이지안 추정, 점추정량의 판정기준 - 7주차 정리 모멘트 방법(Method of Moments) 표본자료에 대한 표본모멘트가 확률분포의 이론적 모멘트와 같다고 가정하여 모수를 구함 베이지안 추정(Bayesian estimation) 표본자료와 모수에 대한 사전정보(prior information)를 포함하여 추정을 하는 방법임 베이지안 추정량을 구하기 구하는 순서 점추정량의 판정기준 점추정량의 판정기준에는 일치성, 불편성, 효율성 세 가지가 있다. 일치성(Consistency) 불편성(unbiasedness) 불편성의 예 효율성(efficiency) 효율성의 예 문제 1 베르누이분포의모수 p(성공확률)의 추정량을 모멘트 방법으로 구하라 문제 2 문제 3 표본𝑋1,𝑋2,……..,𝑋16~𝑖𝑖𝑑N(𝜽,16)이다 .Y=X(Bar)이면Y(𝜽,1)이다. 𝜽는 표준.. 2021. 10. 20.
추정의 개념, 점추정, 최우도추정법-7주차 정리 추정(Estimation) 추정이란? 어떤 근사치를 찾아내는 방법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 표본 자료를 이용하여 모수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뮤와 시그마 제곱이 알려져 있지않아 표본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다. 추정의 종류 추정량과 추정값 추정 통계량은 추정량이므로 따라서 확률변수이다. 이 둘의 차이는 중요하니 잘 알아보도록 하자.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모수 정리 모수는람다, p 뮤, 시그마가 될 수 있다. 모수를 알아내기 위해서 표본자료의 함수인 통계량을 이용한다. 많은 통계량 중에서 추정량은 아래와 같다. 쎄타 햇으로 읽는다. 성공확률의 추정량은 p햇과 같고 각각의 추정량에 대해서 "햇"을 넣는다. (햇은 hat이다) 점추정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모수에 대하여 한 개의 값을 구함 점추정 방법 점추정 대.. 2021. 10. 20.
반응형